'원정 출산'이란 단어, <br /> <br />보통은 비행기를 타고 다른 나라로 날아가 아기를 낳을 경우를 두고 쓰는 말인데요. <br /> <br />최근에는 농·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출산 인프라가 점점 열악해지면서, 국내에서조차 '원정 출산'이란 단어가 낯설지 않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사흘 전에도, 휴식과 여행 겸 강원도 속초를 찾았던 30대 임산부가 200km나 떨어진 서울로 원정 출산을 해야 하는 일이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보시는 사진은 119대원들이 헬기로 임산부를 이송하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6일 새벽 강원도 속초에 있는 리조트에 머물던 임산부 30대 A 씨, <br /> <br />양수가 터지면서 급하게 분만실이 있는 곳을 여기저기 알아본 건데요 <br /> <br />속초의 한 의료원에서는 "야간 시간이라 분만 수술이 어렵다." <br /> <br />인근 강릉의 한 대형 병원에서도 분만실이 없어 수술과 입원이 불가하다고 해 2시간가량을 헤매다가 결국은 헬기를 타고 서울 목동에 있는 대형 병원에서 아기를 낳게 된 겁니다. <br /> <br />열악한 출산 인프라, 얼마나 심각한 걸까요? <br /> <br />지난해 기준으로 전국에 있는 산부인과 의원 수는 총 1,322곳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지역적으로 고르게 분포돼있지는 않습니다. <br /> <br />산부인과가 아예 없는 농어촌 지역, 강원 5곳, 충북 1곳, 전북 4곳 등 모두 22곳에 달했고요, <br /> <br />산부인과는 있지만 분만실이 없는 농어촌 지역도 전국적으로 50곳에 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다 보니 농어촌 지역 혹은 중소 도시에서 아이를 낳으려면 최소 30분 이상은 걸려 원정 출산을 해야 하는 게 현실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10년여 전부터 출산 인프라 취약 지역을 중심으로 운영비 보조, 시설비 지원 등 분만 취약지 지원 사업을 벌이고 있지만, 인프라 양극화는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지자체 그리고 의료계와 연계한 좀 더 체계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609092302471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